mobile spirometry 관련 자료로 돌아가기
과제명 | 스마트기기 내장 마이크기반 폐질환 진단기기 개발 |
---|---|
발행년월 | 2019-11 |
연구기관 | 원광대학교 |
링크 | https://scienceon.kisti.re.kr/srch/selectPORSrchReport.do?cn=TRKO202000001587#; |
요약
- 모바일 핸드폰의 내장 마이크를 활용해 사용자의 호기시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폐기능 평가.
- VFCDM으로 주파수 분석
- SPWV, STFT, WT, VFCDM 중 VFCDM이 가장 결과가 정확했음
- 측정 파라미터
- FVC
- FEV1
- FEV1 / FVC
- PEF
- 추가로 앱과 클라우드 서비스 구현
- 활용 디바이스: iPhone 5s
- 오차율: 2~3%
연구 배경 및 필요성
- 만성 호흡 질환의 심각성
- WHO에 따르면 만성 폐쇄성폐질환(COPD) 환자는 전 세계적으로 6,400만 명, 천식 환자는 2억 3,500만 명에 달함.
- 국내에서는 40세 이상 COPD 유병률이 14.6%, 65세 이상은 30.2%로 연령 증가에 따라 높은 비율을 보임.
- 자가 진단의 필요성
- 현재 천식 및 COPD 진단은 폐활량계(spirometry test)를 통해 이루어짐. 이는 병원 방문이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경과 추적이 어려운 문제가 있음.
- 정기적인 spirometry 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이 가능하지만, 환자의 시간적·물리적 제약으로 인해 검사율이 낮음.
- “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” 진단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기반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.
연구 목표
- 스마트기기 활용
-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의 내장 마이크를 활용해 폐활량계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 개발.
- 진단 알고리즘 및 플랫폼
- 호흡 데이터를 정밀 분석하여 임상적으로 활용 가능한 지표(FVC, FEV1, FEV1/FVC, PEF)를 측정.
- 이를 기반으로 천식 및 COPD를 조기 진단하고 관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및 클라우드 플랫폼 구현.
연구 내용
- 특별한 부가 장치 없이 스마트폰 내장 마이크 기반으로 호기시 신호를 측정
- VFCDM을 활용하여 임상에서 사용되는 PFT parameters(FVC, FEV1, FEV1/FVC, PEF)를 검출
- 마이크를 이용하여 측정된 오디오 신호를 VFCDM을 활용하여 주파수 분석을 통한 noise를 제외한 실제 호기시 신호만을 검출
- SPWV, STFT, WT 등 이전의 시간-주파수 분석 방법보다 VFCDM은 더 높은 해상도가 나타남
- 검출된 신호를 활용하여 PFT parameters 평가
-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
-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측정 횟수 및 검출 parameters 및 그래프 출력
- 측정된 PFT 결과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개발
- 임상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parameter인 FEV1/FVC의 정확도 검증을 위하여 13명의 실험자를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absolute error mean 4.12 및 standard deviation 3.45로 높은 정확도가 나타남
주요 기술 및 성과
- VFCDM 및 Resonance Tracking
- 노력성 호기 신호에서 목소리나 환경 소음을 제거해 호흡 데이터를 정확히 분석.
- FVC, FEV1, FEV1/FVC 등의 임상 지표를 정밀하게 계산.
- 스마트기기 기반 시스템
- 병원 방문 없이 간단한 호흡만으로 천식 및 COPD를 검사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 개발.
-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장기적으로 관리.
- 비교 분석 결과
- 임상 검사의 주요 지표(FEV1/FVC 비율 등)와 비교했을 때, 2~3% 내외의 오차율로 실제 활용 가능성을 입증.
연구 의의 및 기대 효과
- 의료 접근성 개선
- 의료기관 방문 없이 스마트기기만으로 폐질환을 진단하고 관리 가능.
-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도 활용 가능.
- 조기 진단 및 관리
- 천식 및 COPD를 조기에 발견하고,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추적 관리할 수 있음.
- 국민 건강 증진
- 간편한 진단 시스템으로 일반인의 질환 발견률 증가.
- 만성 폐질환의 조기 발견 및 치료 기회 확대.
연구의 한계 및 개선 방향
- 다양한 환경에서 신호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한 알고리즘 개선 필요.
- 웨어러블 기기와의 통합 및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한 추가 연구.